에이프로젠 5

[주식스터디_2022] 코로나 없는 우리들의 일상으로 돌아갑니다 ....(오메콜 코로나상비약)

“유행 정점 완전히 지나”…내일 일상화 방안 발표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을 완전히 지나갔다고 평가하고, 내일(15일) 일상화 종합 계획을 발표합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늘 백브리핑에서 “주간 일 평균 확진자 수를 비교했을 때 유행 정점은 완전히 지난 것으로 판단된다”며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방대본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수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의 정점기였던 지난달 셋째 주 하루 평균 40만 5천 명이 발생했는데, 지난주(4월 첫째 주)에는 21만여 명으로 줄었습니다. 방대본 관계자는 “정점기에 대비해 지난주 확진자 수가 약 46% 감소한 규모”라며 “이번 주 목요일까지 5일간의 평균은 약 16만 명으로 정점기 대비 60% 정도 감소한 수치”라고 설명했습니다. 방..

카테고리 없음 2022.04.14

[주식스터디_2022] 해외수출 증가율 톱5, (주)에이프로젠제약

해외매출/수출 톱5, 셀트리온·삼바·한미·SK바이오팜·녹십자 ■약업닷컴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코스피 41개/ 코스닥 40개)의 2021년 해외매출/수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기업들은 평균 1,231억원으로 전년 대비 20.6% 증가했고, 코스피 기업들은 평균 221억원으로 전년비 18.8%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수출 비중은 각각 1.2%p 증가한 24.3%, 1.0%p 늘어난 15.7%를 기록했다. ■연간 해외매출/수출의 경우 셀트리온(1조4,046억원)과 삼성바이오로직스(1조2,217억원)가 1조원을 넘어섰고, 이어 한미약품, SK바이오팜, GC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유한양행, 일양약품, 동아에스티, 대웅제약 순이었다.(코스피 평균 1,231억원) ■전년 대비 증가율에서는 SK바이..

카테고리 없음 2022.04.13

[주식스터디_2022] 에이프로젠제약 투자전략 & 바이오시밀러 판매사업

제약 바이오시밀러 미래상품 생산준비 ■에이프로젠MED 이승호 대표의 최근 언론 인터뷰를 참고하면 미국향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맡게 될 오송공장의 안정화 작업이 마무리 단계이고, 배양액을 2주간 매일 회수하는 연속배양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오염이슈가 있었지만 다 해결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2023년에는 레미케이트 시밀러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허가를 신정할 것으로 예상하고 허셉틴 바이오시밀러(AP063) 임상 3상 시료 생산도 거의 마무리 단계이고 올해 하반기 임상 3상이 본격화 될것이라 말했다. ■또한 퇴행생 관절염 치료제와 항암 치료제를 개발 중에 있는데 임상 1상까지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CDMO(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기업에 위탁개발을 맡길 예정이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의 경..

카테고리 없음 2022.04.12

[주식스터디_2022] 친환경자동차 1톤전기 트럭 포터 인기 상종가 & 자동차부품주 (주)유니크투자전략

경유값 급등에 인기 폭발한 1t 전기 트럭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1t 전기 트럭인 포터2 일렉트릭과 봉고3 EV를 합친 누적 국내 판매량은 지난주 5만 대를 돌파했다. 2019년 12월 말 출시된 포터2 일렉트릭이 올 1분기까지 누적 2만8973대, 2020년 1월 나온 봉고3 EV가 2만273대 팔렸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까지 합계 4만9246대가 팔린 이들 차량은 이달 들어 1000대 이상 출고되며 누적 5만 대 판매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소형 전기트럭의 인기는 제조사조차 놀랄 정도다. 작년 1만5805대가 팔린 포터2 일렉트릭은 전략 전기차 아이오닉 5(2만2671대)에 이어 전체 현대 전기차 중 내수 판매 2위에 올랐다. 기아 봉고3 EV 판매량도 1만728대로 플래그십 스포..

카테고리 없음 2022.04.11

[주식스터디_2022] 에이프로젠메디신 합병공시 & 주주의견과 합병반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주)에이프로젠메디신 기명식 보통주식 : (주)에이프로젠 기명식 보통주식 = 1: 10.8654060(합병비율) 로 정정 신고를 하면서 에이프로젠의 자산가치를 축소하는 긍정적 소식을 알렸다 이로 인해 합병 가능성이 조금 더 열린 것으로 풀이 된다. 4월 19일~5월 3일까지 합병 반대의사 통지 접수기간이다. 이 기간에 합병반대 의사통지를 하면 주식매수 청구권 행사 권리가 생긴다. 주식매수청구행사 가격은 2025원이다. 합병 일정이 더이상 연기 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4월 19일까지 2025원 이상 주가를 끌어 올리지 못하면 주주들의 합병반대의사통지를 통한 주식매수청구행사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가를 19일 전까지 행사 가격 이상 끌어 올리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http://naver.me/5RRN0..

카테고리 없음 202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