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로젠제약투자전략 3

[주식스터디_2022] 에이프로젠 합병공시발표 & 에이프로젠제약 투자전략

7일 시간외 거래에서 에이프로젠제약은 +9.98%, 에이프로젠 MED는 +9.91%, 에이프로젠 H&G는 +9.86% 상승 마감했다. ■에이프로젠메디신과 에이프로젠 간 합병비율은 1: 14.0105673 으로 산정되었으며, 에이프로젠메디신과 에이프로젠이 합병을 함에 있어서 합병비율의 기준이 되는 에이프로젠메디신과 에이프로젠의 주당 평가액은 각각 1798원(주당 액면가액 500원)과 2만5191원(주당 액면가액 500원)으로 산정되었다. ■회사측은 합병 이후 현금 및 현금성자산 약 553억8500만원과 45억8100만원의 기타유동금융자산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해당 자금을 바이오의약품 사업 추진에 활용하여 기업가치를 확대할 수 있을 출처 http://naver.me/GC6VV5v9 에이프로젠제약·..

카테고리 없음 2022.04.07

[주식스터디_2022] 에이프로젠제약 투자전략 & 순이익률 19.4%

상장제약바이오 순이익 SKBS·셀트리온·삼바·녹십자 순 ■약업닷컴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코스피 41개/ 코스닥 40개)의 2021년 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제약바이오기업의 평균 순이익이 전년 대비 55.4% 급증한 461억원을 기록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기업 평균 순이익은 전년비 100.9% 증가한 97억원이었다. 지난해 순이익률은 코스피가 9.1%, 코스닥이 6.9%를 기록했다. ■4분기 순이익의 경우 SK바이오사이언스(1,840억원), 셀트리온(1,242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793억원), GC녹십자(539억원), SK바이오팜(471억원), 대웅제약(302억원), 한미약품(219억원), 유한양행(157억원), 팜젠사이언스(133억원), 하나제약(71억원) 순이었다.(코스피 평균 110억원) ..

카테고리 없음 2022.04.07

[주식스터디_2022] 에이프로젠 미국진출 & 에이프로젠제약 투자전략

바이오 1호 유니콘 에이프로젠 ■에이프로젠은 2018년부터 유럽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지만 큰 진척이 없는 상태다. 2018년 4월 터키 보건당국에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제품 품목허가를 신청했지만 약 4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에이프로젠은 2011년 11월 바이넥스와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해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바이넥스 공장에서 생산된다. 터키에서 품목허가가 승인되면 바이넥스는 제품을 직접 터키 압디사에 공급할 예정이었다. #바이넥스 관계자는 “2018년 4월 에이프로젠 #바이오시밀러 제품에 대해 터키에 품목허가를 신청한 것이 맞다”며 “관련 업무는 우리가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관련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당초 회사 측..

카테고리 없음 2022.04.05